경찰대 출신 고위 간부들이 경무관 이상 최고위직에 집중 배치되는 등 경찰 조직을 장악해 각종 혜택을 독차지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 가운데(본보 3월 1·5일자 23면 보도) 전국에서 가장 많은 인구로 강력범죄 발생율도 가장 많은 경기지방경찰청의 경력이 서울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경기청 관할 경찰서에는 서울청과 달리 경위 이상 간부들의 비율도 부족해 베테랑 수사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5일 경찰청에 따르면 인구 1천119만여명의 경기도 전체를 관할하는 경기지방경찰청 산하 지역 경찰서 경력은 1만5천749명으로 경찰 1인 당 710명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서울시는 인구 963만여명으로 경기도에 비해 156만여명 적지만 서울청 경력은 1만8천919명으로 경기청에 비해 3천170명 많아 경찰 1인당 담당 인구가 529명에 불과하다.
이 결과 2011년 경기도의 살인과 강간 등 강력범죄 발생이 13만6천232건으로 서울의 13만3천471건에 비해 약 2천800여건 많은데다 검거율 역시 61%로 65%인 서울보다 4% 낮은 것으로 나타나 경기청의 인력 충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사건현장에서 수사를 총괄하는 경위 이상 간부들의 인력은 경기청 관할 경찰서가 4천650명으로 1인당 인구 2천407명을 담당하는데 반해 서울청은 8천329명으로 1인당 1천156명을 담당하는데 그쳐 경기청의 인력부족이 심각한 상황이다.
경기청 관계자는 “경기도 인구가 서울을 추월하는 등 대폭 늘고 있어 경기도 경찰력 증원이 필요한 게 사실”이라며 “경기청의 경우 서울청과 달리 베테랑 수사인력이 부족하지만 순경 등 젊은 경찰관 충원만 지속적으로 이뤄지고 있어 10년 이후에는 치안수요에 맞는 경찰력이 확보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찰청 관계자는 “급격한 인구 이동과 달리 경찰력의 이동은 쉽지 않은데다, 서울에 각종 집회가 집중돼 기동대 경력이 많아 서울청의 경력이 많은 상황”이라며 “신입 순경의 배치를 경기청에 집중 배치해 부족한 치안수요를 보충하고 있다”고 밝혔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